전체 글 17

당뇨병이란 무엇일까요?

당뇨병이란 무엇일까요? 우리 세포는 에너지 수요 대부분을 단당인 포도당에 의존합니다. 특히 뇌는 포도당의 30-60%까지 사용합니다. 신체에는 혈액 내 포도당 수치가 너무 낮아지거나 너무 높아지지 않도록 하는 복잡한 메커니즘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glucose 70-110 mg/dL, 3.9-5.6 mmol/L). 음식을 섭취하면 대부분의 소화 가능한 탄수화물이 포도당으로 전환되어 혈류로 빠르게 흡수됩니다. 혈당이 상승하면 췌장에 신호를 보내 인슐린을 만들고 방출하게 되는데, 인슐린은 세포가 포도당을 흡수하도록 지시합니다. 인슐린이 없으면 포도당은 혈류 주위를 떠다니며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세포 안으로 들어갈 수 없습니다. 당뇨병은 신체가 충분한 인슐린을 생성하지 못하거나 생성된 인슐린을 적절하게 사용할..

카테고리 없음 2024.02.06

암이란 무엇일까요? 왜 암이 생길까요?

암은 신체의 일부 세포가 통제할 수 없을 정도로 성장하여 신체의 다른 부위로 퍼지는 질병입니다. 암은 수조 개의 세포로 구성된 인체의 거의 모든 곳에서 시작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인간 세포는 세포 분열이라는 과정을 통해 성장하고 증식하여 필요할 때 새로운 세포를 형성합니다. 세포가 늙거나 손상되면 죽고 새로운 세포가 그 자리를 차지합니다. 때로는 이 질서 있는 과정이 무너지고, 비정상적이거나 손상된 세포가 자라서는 안 될 때 증식하기도 합니다. 이들 세포는 조직 덩어리인 종양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 악성 종양은 인근 조직으로 퍼지거나 침범하여 전이라고 하는 과정을 통해 신체의 먼 곳으로 이동하여 새로운 종양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 암세포는 여러 면에서 정상세포와 다릅니다. 정상 세포는 성장하라는 신..

카테고리 없음 2024.02.04

암보다 두려운 질병 - 나를 잃는 치매 ① 알츠하이머병

기억력 감퇴, 언어 장애, 시-공간 파악 능력 및 판단력 저하 등의 인지 기능 장애와 함께 불안, 우울, 망상, 무감동, 의심, 공격성 등의 정신행동 증상이 나타나는 치매는 하나의 질병 명이 아닌 특정 증상들의 집합이자 묶음인 임상 증후군입니다. 즉 다양한 원인에 의해 위와 같은 증상들이 나타나고 이로 인해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없는 상태를 뜻하지요. 치매환자는 고령화의 세계적 흐름으로 급증하고 있습니다. 국제알츠하이머병협회에 따르면 2015년 약 4,678만 명이었던 세계 치매 환자는 2018년 약 5천만 명으로 증가했고, 2030년에는 약 7,500만 명에 이를 거란 전망입니다. 65세 이상 고령 인구 비율이 2020년 15.7%에서 2025년 20.3%로 20% 선을 넘어 초고령사회로 진입하는 우리..

카테고리 없음 2024.02.02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 뇌출혈 ① 뇌실질 내 출혈(뇌내출혈)

높은 사망률과 심각한 후유증 '뇌출혈' 대표적 뇌혈관 질환인 '뇌졸중'은 뇌혈관이 막혀서 발생하는 '뇌경색'과 뇌혈관이 터져서 발생하는 '뇌출혈'로 나뉩니다. 뇌졸중의 약 70~80%를 뇌경색이 차지하지만, 최근 연평균 증가율에서 뇌출혈(약 8%)이 뇌경색(약 6.4%)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뇌경색에 비해 뇌출혈이 사망률과 심각한 후유증을 남길 가능성은 훨씬 더 높습니다. 뇌출혈 발생 후 한 달 내 사망률은 35~52%, 특히 사망의 30~50%는 초기 이틀 안에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는 만큼 뇌출혈은 급성기 관리가 매우 중요한 질환입니다. 뇌출혈은 크게 '자발성 출혈'과 '외상에 의한 출혈'로 분류됩니다. 낙상, 사고 등 두부 외상으로 발생하는 '외상에 의한 출혈'에는 경막, 지주막, 연..

카테고리 없음 2024.02.02

뇌혈관 건강을 지켜라! 뇌경색 증상, 치료, 예방법

한국인의 사망 원인 1위는 암이 아닌 '뇌졸중'이라는 사실을 아시나요? 암은 위암, 대장암, 간암, 유방암, 췌장암, 갑상선암 등 발생 부위에 따라 세분화되기 때문에 한국인의 단일 질환 사망 첫 번째 원인으로는 '뇌졸중'이 꼽힙니다. 지난해 '뇌졸중'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607,862명으로(건강보험심사평가원), 뇌졸중 환자는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뇌졸중'은 갑자기 발생해 심각한 후유증과 장애를 남길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뇌졸중이란? (Cerebrovascular disease) 뇌졸중은 대표적인 뇌혈관 질환으로 우리나라에서는 흔히 '중풍'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 터지는 등 뇌혈관 이상으로 그 부분의 뇌가 손상돼 나타나는 신경학적 증상으로, 크..

카테고리 없음 2024.02.02

뇌혈관 건강을 지켜라! 뇌경색 치료 약물요법

뇌혈관이 막혀서 발생하는 '뇌경색'은 재발률이 높습니다. 또한 재발 시 처음보다 더 심한 후유증과 높은 치명률을 보이는 등 예후가 좋지 않습니다. 때문에 뇌경색의 재발을 막기 위해서는 앞에서 소개한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 심장질환, 흡연, 음주 등의 위험 요인 관리와 함께 혈전 생성을 억제해 뇌경색 이차 예방에 사용하는 항혈전제인 항혈소판제와 항응고제의 지속 복용이 필요합니다. 항혈소판제란? (antiplatelet agent) 항혈소판제는 혈소판이 뭉치는 것을 막아 혈전 생성을 억제합니다. 때문에 동맥경화증으로 손상된 뇌혈관에 혈전이 생성돼 혈관이 좁아지고 막히는 '혈전성 뇌경색'과 뇌의 미세한 혈관이 막히는 '열공성 뇌경색'의 이차 예방을 위해 사용됩니다. 항혈소판제는 뇌경색을 비롯해 다양한 심혈..

카테고리 없음 2024.02.02

시각 싸이클의 이해와 망막 질환 신약 개발 3

과학자들은 눈에서 일어나는 비타민 A의 반응을 100년 이상의 시간을 거쳐 연구하였으며, 최근에서야 반응을 매개하는 효소나 단백질의 존재를 발견하고 아미노산 서열을 알게 되었습니다. 눈의 메커니즘과 단백질 연구에 가장 공헌을 한 것 중 하나를 꼽으라면 기능성 유기 분자의 합성과 응용입니다. 1993년, 1세대로서 간단한 레티노이드의 유도체를 사용한 예가 있었습니다. all-trans-retinyl alpha-bromoacetate (RBA)에 동위원소 (tritium)를 첨가해 합성함으로써 RPE cell에 존재하는 시각 필수 요소의 하나인 lecithin retinol acyltransferase의 존재를 밝혀내었습니다. 이 효소의 전체 아미노산 서열은 바이오틴을 첨가한 키톤(BACMK)으로 단백질과 ..

카테고리 없음 2024.02.02

시각 싸이클의 이해와 망막 질환 신약 개발 2

기능성 단백질체학의 발달 기능성 단백질체학은 아래와 같은 몇 가지 주변 기기와 방법 발달에 힘입어 지난 몇 년간 크게 발전했습니다. 첫 번째는 질량 분석 기기의 발전입니다. 질량 분석을 위한 이온화 방법도 전기분사이온화법 (Electrospray ionization, ESI), 화학적 이온화 (chemical ionization, CI), 전자 충돌 이온화 방법 (electron ionization, EI), 매트릭스를 이용한 레이저 탈착 이온화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 ionization, MALDI) 등 다양해졌으며, 분석기 또한 quadrupole, time-of-flight (TOF), magnetic/electromagnetic 등으로 다양하게 발전하였습니다...

카테고리 없음 2024.02.02

시각 싸이클의 이해와 망막 질환 신약 개발 1

시각을 가진 모든 생명체의 인지 과정은 로돕신(Rhodopsin)에 연결된 비타민 A 이민(11-cis-retinaldehyde imine)이 광자, 즉 빛과의 반응 작용에 의해 레티놀 retinol/all-trans vitamin A 형태 구조가 변화 됨으로써 이루어집니다. 눈으로 받아들여진 빛 에너지 정보는 GPCR G-protein-coupled receptor의 신호전달 과정을 거쳐 cGMP가 관여하는 양이온 채널을 닫음으로써 시각 세포가 전기적 극성을 띄게 만든 후 전기에너지 형태로 뇌에 전달하는 과정이 이루어집니다. 그리고 빛에 의해서 11-cis 구조였던 비타민 A가 all-trans 구조로 바뀐 후 여러 단백질과 효소 반응을 거쳐 다시 11-cis 형태로 재생산됩니다. 앞서 말한 것과 같이..

카테고리 없음 2024.02.02

녹내장의 원인과 증상 치료 알아보기

녹내장(Glaucoma) 이란? 3대 실명 질환 중 하나인 녹내장은 안압 상승으로 인한 시신경 위축, 주변 시야의 감소가 특징적인 질환입니다. 시신경은 눈을 통해 얻은 시각적 정보를 뇌로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기에, 따라서 시신경이 위축되거나 손상되면 시야 결손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전의 경우 안압 상승이 녹내장의 주된 특징이었지만 최근에는 녹내장임에도 안압이 정상인 경우가 흔하게 발견되고 있습니다. 녹내장은 전 세계적으로 약 7천만 명 이상의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질환으로서 이 중 약 10%는 녹내장에 의한 양측 실명을 경험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녹내장은 정기검진을 통한 예방이 중요하게 강조되는 질환이지요. 녹내장의 원인과 분류 녹내장의 주된 원인으로 안압과 노화를 들 수 있습니다. 안압이..

카테고리 없음 2024.02.02